Page 141 - 고경 - 2021년 12월호 Vol. 104
P. 141
제1편에서는 포교사와 일반
승려, 신도를 구분하고 자비와
열성, 설법 능력, 신앙, 학식, 건
강 등 포교사의 자질과 필요한
소양에 대해 언급했다. 또 포교
장소, 운영기관 및 보조기관과
재정 등에 대해 기술하고, 배워
야 할 과목으로 문학과 한문, 역
사와 종교, 철학과 윤리, 정치와
사회, 경제와 수학 등 여러 분야
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또한 포
교사는 근본불교, 통불교를 교
사진 2. 강유문의 『포교법 개설』(1938년).
의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2편 소화에서는 포교 대상의 근기와 환경, 시대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고 보고, 농촌과 도시, 개인과 군중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 각각 설명하고 있
다. 예를 들어 농촌의 경우 불교 포교와 계발, 자부심 고취와 정신 양성, 경
제와 위생 등 생활 개선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보았다. 도시 포교는 설교
및 강연회, 경전독송회, 신앙좌담회, 신문과 잡지 포교, 불서 출판, 각종 기
념식과 장례식, 유치원과 일요학교, 청년회와 부인회, 교육 포교(학교 경영),
각종 사회사업과 단체 포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제3편에서는 사업의 대상으로 빈민 구제, 가난 예방, 아동 보호, 사회 교
화 등을 열거했고 더 구체적으로는 직업 소개, 실업 보호, 보건과 위생, 저
리 금융, 부업 장려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또 청소년 교화, 부인 교화의
다양한 방식도 소개하고 있다. 부록에서는 강의의 목적, 강사와 사회자,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