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 고경 - 2021년 12월호 Vol. 104
P. 145

다.”라고  단언하였다.  즉  그는  『대
             학』을 아예 유식불교 경전으로 파악
             하였다. 송명대 유학자들도 『중용』

             이나 『대학』을 불교와 유학이 합치된

             다는 주장의 수단으로 활용한 일은
             있었지만, 이때의 불교는 어디까지
             나 화엄종이나 선종 등 중국 불교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담사동

             은 여기에 과감하게 유식불교를 끌
             어들인 것이다.
               유식불교의  목적은  외부  대상과                              젊은 시절의 담사동.

             주관적인 내가 실재한다고 보는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다. 아집我

             執과 법집法執을 깨뜨려서 나와 세계가 모두 공이라는 진리[我法二空]를 밝
             히기 위한 것이다.
               유식불교 경전인 『성유식론』에서는 ‘나’와 ‘외부 대상’은 “단지 거짓

             으로 세워져 있고, 실제로 자성이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나’

             와 ‘외부 대상’을 모두 ‘식의 전변에 의해서 거짓으로 시설된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유식불교에서 객관대상의 세계는 ‘식識으로서의 존재’,
             또는 ‘식 안에 있는 존재’가 되며, 따라서 문자 그대로 ‘오직 식만 존재

             한다[唯識]’는 말이 성립하게 된다. 이렇게 마음을 중시하는 정점에 위

             치한 유식불교는 사회의 변화를 ‘개인의 주체적 자각’에서 찾아보려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밖에 없었고, 이것이 바로 중국 근대에 불교부
             흥운동이 일어나고 담사동이 유식불교에 관심을 두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143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