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 - 고경 - 2022년 1월호 Vol. 105
P. 45

사진 1. 돈황본 『육조단경』 필사본.
             한 부정될 수 없는 입장이고, ‘수’를 인정한다면 또한 ‘증’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무념·무상·무주’가 ‘무념지념無念之念·무상지

             상無相之相·무주지주無住之住’로 해석되는 바와 같이 ‘수’를 ‘무수지수無修之
             修’, ‘증’을 ‘무증지증無證之證’으로 개념을 바꾸어야 논리가 맞게 되고, 그
             에 따라 ‘무수무증無修無證’이 성립하게 된다. 이렇게 ‘수증’의 개념이 바뀌

             고, ‘정혜’가 ‘정혜등학’으로 달라진다면, 마땅히 삼학 가운데 하나인 ‘계戒’

             도 새롭게 변모하여야 할 것이다.
               돈황본 『단경』에서는 편자編者를 “겸수 무상계 홍법제자 법해 집기兼受無
                              1)
             相戒弘法弟子法海集記” 라고 소개하고 있다. 혜능의 제자인 법해가 ‘겸수 무
             상계’라는 문구로부터 이미 구족계를 받은 상황에서 다시 ‘무상계’를 받았

             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이에 이어지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敦煌本, 『壇經』(大正藏48, 337a)


                                                                          43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