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 고경 - 2022년 4월호  Vol. 108
        P. 98
     석등과 홍각선사탑비
                                                 여기서 탑비가 서 있는 곳으
                                               로 가면 그 앞으로 석등이 있
                                               다. 이 석등은 신라시대의 전형
                                               적인  8각  형식을  따르면서도
                                               받침돌의 구성이 독특하여 주
                                               목된다. 【사진 7】 하대석의 복
                                               련석伏蓮石에는 귀꽃조각이 강
                                               하게 돌출되어 있고, 그 위에
                                               중대석을 기둥처럼 세웠는데,
                                               간주석竿柱石의 양끝에는 구름
                                               무늬의  띠를  둘러  새겨놓았
                                               고,  가운데에는  꽃송이를  조
                                               각한 마디를 새긴 다음 이 마
                                               디 위아래로 대칭되는 연꽃잎
                                               의 띠를 둘러 새겼다.
          사진 9. 홍각선사탑비의 남아 있는 부분의 탁본 부분.         화사석은 8각으로 빛이 새
                                               어 나오도록 4개의 창을 뚫었
          고, 각 면의 아래에는 작은 공간에 무늬들이 새겨져 있다. 옥개석屋蓋石은
          8각의 모서리선이 뚜렷하게 남아 있고, 추녀에는 하대석의 귀꽃조각과 같
          이 새겨져 있는데, 일부 추녀의 조각들을 의도적으로 파손한 흔적도 뚜렷
          이 남아 있다. 전체적인 양식과 장식적 조각 등은 통일신라시대 석등의 특
          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