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 고경 - 2022년 6월호 Vol. 110
P. 136

고 설해져 있다.
           주석서에서는 ‘땅의 요소[地界]’는 견고한 성질(patiṭṭha-dhātu)로, ‘물의
          요소[水界]’는 점착하는 성질(ābandhana-dhātu)로, ‘불의 요소[火界]’는 익

          히는  성질(paripācana-  dhātu)로,  ‘바람의  요소[風界]’는  팽창하는  성질

                                       2)
          (vitthambhana-dhātu)로 설명한다.  이른바 네 가지 요소[四界]란 지대地
          大·수대水大·화대火大·풍대風大를 의미한다.

           그런데  붓다의  최초  설법인  「담마짝까빠왓따나  숫따(Dhammacak-
          kapavattana-sutta, 轉法輪經)」에서는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를

          설명하면서 오온에 대한 집착 자체가 괴로움이라는 ‘오취온고五取蘊苦
                                                            3)
          (pañca-upādānakkhandhā-dukkha)’를 언급하고 있을 뿐,  오취온고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고 있다.

           ‘사대四大’라는 용어는 오취온을 설명하면서 처음으로 나타난다. 즉 「우

                                                                4)
          빠다나빠리왓따 숫따(Upādānaparivaṭṭa-sutta, 取轉經)」(SN22:56) 와 이에
          대응하는 『잡아함경』 제3권 제41경 「오전경五轉經」 에 사대가 언급되고
                                                     5)
          있다. 「우빠다나빠리왓따 숫따」에 따르면,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

          이 물질[色]인가? 네 가지 근본 물질[四大]과 네 가지 근본 물질에서 파생

          된 물질[四大所造], 이를 일러 물질[色]이라 한다.”  그런데 니까야에서는
                                                    6)
          파생된 물질[所造色, upādā-rūpa]이 무엇인가에 대한 해석은 전혀 나타나
                                                                 7)
          지 않는다. 물질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은 논장論藏에 나타난다.  『아비


          2) SA.Ⅱ.152; 각묵 옮김, 『상윳따 니까야』 제2권, 초기불전연구원, 2009, p.426, n.468.
          3) SN.Ⅴ.420.
          4) SN.Ⅲ.58-61.
          5) 『雜阿含經』 제3권 제41경 「五轉經」(T2, pp.9b-10a).
          6)  SN.Ⅲ.59, “Katamañca bhikkhve rūpaṃ. Cattāro ca mahābhūtā catunnṃ ca mahābhūtānam
           upādāya rūpaṃ idaṃ vuccati bhikkhave rūpaṃ.”
          7) 각묵 옮김, 『상윳따 니까야』 제3권, p.220, n.173.


          134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