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0 - 고경 - 2022년 7월호 Vol. 111
P. 130

께  글을  읽었던
                                                          다신계茶信契의
                                                          일원이기도  하

                                                          다.  「다신계」는

                                                          다산을 스승으로
                                                          모신  서생들이
                                                          다산이  유배를

          사진 3.  『만덕사지』. 고려 중 후기의   사진 4.  『역주 만덕사지』. 동국대학교  마치고 돌아간 이
              불교사정을 담고 있는 자료         출판부에서 2021년에 출간한
              를 평가 받는다.              단행본.                 후에도 서로를 잊

          지 않기 위해 결성한 계다. 만덕사의 승려 수룡색성과 철경응언도 방외方外의
          연고자로 수록되어 계원으로 활동한 것으로 보아 이들의 관계를 알 수 있다.

           이청은 『만덕사지』를 찬술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

          도 기여하였는데, 특히 『동문선東文選』에 백련사 실려 있는 무외국사無畏國
          師의 글을 검토하고 고증하여 관련 있는 것들을 수록하였다. 이밖에 백하
          근학白下謹學과 별악승찬鼈岳勝粲의 생애와 『만덕사지』 찬술을 중심으로 한

          활동은 알기 어렵다.

           요컨대 『만덕사지』는 다산이 강진으로 유배 간 이후 그와 사제지간의 인
          연을 맺은 아암과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찬술되었다. 이들은 이미 『대둔사
          지』 찬술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료 수집과 교감 작업 등의 경험을 토

          대로 체계적인 찬술과 주체적인 불교사 인식을 시도할 수 있었다. 때문에

          『만덕사지』는 단순한 사찰에 대한 기록이 아닌 것이다. 동시대 불교계의 동
          향이나 정체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컨대 『만덕사
          지』는 원묘요세를 중심으로 한 백련결사와 고려 중후기 불교사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불교사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128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