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고경 - 2022년 10월호 Vol. 114
P. 32

이렇게 보면 무심의 구현을 위해 굳이 좌선을 하고 화두를 참구해야 할
          것 같지는 않다. 6조스님 같은 선지식을 찾으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
          나 큰 선지식을 만나는 일은 맹구우목盲龜遇木의 인연을 필요로 한다. 그런

          데 우리의 눈길을 혜명스님에게 돌려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그는 전법 가

          사라는 영예를 탈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법을 구하고자 하는 마음 하나
          로 6조스님을 따라잡았다. 그에게는 간절함이 넘쳤다.
           ‘출가 전 장군이었을 때처럼 용맹한 기세로 장좌불와의 닦음을 실천했음

          에도 나는 여전히 막막하기만 하다. 그런데 저 이는 어떻게 행자의 신분을

          떼기도 전에 전법의 가사를 전수받을 수 있었던 것일까?’
           이러한 간절함이 그를 달리게 하여 완전히 마음이 비어버린 상태에서 대
          유령의 설법을 만나게 된 것이다. 사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만나는 모든 것

          이 선지식이다. 향엄스님에게는 그것이 대나무에 돌 부딪치는 소리였고,

          서산스님에게는 그것이 대낮에 닭 우는 소리였다. 현사스님은 돌뿌리를 걷
          어차는 순간 깨달았고, 영운스님은 복숭아꽃을 보고 깨달았다.
           이들은 바람이 가득 차 건드리기만 하면 터져버릴 풍선과 같은 상태에

          있었다. 그래서 항상 들을 수 있는 법문, 항상 접하는 유정무정의 계기에

          ‘꽝!’ 하는 깨달음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때 풍선을 채우는 바람이 바로 간
          절함이다. 이 간절함은 우리를 특정한 경계에 머물지 못하도록 밀어붙인
          다. 그것은 잃어버린 자식을 찾아 나선 어버이의 마음과 같다. 어떤 절경

          도 그를 멈춰 세우지 못하고, 어떤 산해진미도 그를 자리에 앉히지 못한다.



            무념의 바른 의미



           수행자를 가득 채운 간절함 앞에 내적 망념이나 외적 경계는 힘을 잃는



          30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