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2 - 고경 - 2022년 11월호 Vol. 115
P. 142

상좌부 수행론과 점수


           이처럼 수행의 결과인 아라한과는 단번에 실현할 수 없고, 단계적으로

          닦아 마지막으로 아라한과를 얻게 된다고 한다. 즉 예류향에서부터 아라

          한과까지 여덟 단계를 반드시 거치게 된다는 것이다. 분별설부分別說部
          (Sthaviravāda)와 상좌부上座部( Theravāda)에서는 점수漸修의 전통을 굳게 지
          키고 있다.

           그러나  대중부大衆部(Mahāsāṇ̇ghika)에서는  ‘일찰나심一刹那心(ekakṣaṇa-

          citt)’, 즉 “붓다는 한순간에 모든 것을 안다.”라는 교리를 갖고 있었다. 이
          러한 사상의 영향으로 대승불교의 선종에서는 ‘일초직입여래지一超直入如
          來地’, 즉 ‘한 번 뛰어 여래如來의 경지에 바로 들어간다’라고 주장한다. 초

          기불교의 사향사과는 점교漸敎에 해당하고, 선종의 종지는 돈교頓敎에 해

          당한다. 영가永嘉의 『증도가證道歌』에 따르면, 선문禪門의 수행은 계단을 올
          라가듯 점차로 올라가는 점교의 문[漸門]이 아니고, 단번에 뛰어넘어 깨달
          음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 돈교의 문[頓門]이라고 주장한다. 이처럼 수행에

          관한 돈오·점수의 논쟁은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140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