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고경 - 2022년 12월호 Vol. 116
P. 139

사신족四神足이다. 여기서 비구는 사유욕정멸행思惟欲
             定滅行을 성취한다. 정진정精進定·의정意定·사유
             정思惟定도 또한 그러하다.”        1)

               이 경에 대응하는 「상기띠 숫따(Saṅgīti-sutta, 合誦

             經)」 (DN33)에 나오는 cattāro iddhipādā를 각묵스
             님은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즉 “여기 비구는 ①열의                    사진 1.  각묵스님.
                                                                   사진 현대불교신문.
             를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saṅkhara, 行)
             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②정진을 [주로 한] 삼

             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
             다. ③마음을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④검증을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

             다.”(DN.Ⅲ.221-222; 각묵 옮김, 『디가 니까야』 제3권(초기불
             전연구원, 2006), p.387)                              사진 2.  전재성 박사.
                                                                   사진 법보신문.
               같은 내용을 전재성 박사는 “네 가지 신통의 기초가 있

             습니다. 곧, 벗들이여, 세상에 수행승이 ①의욕의 집중에 기반한 노력의 형성을

             갖춘 신통의 기초를 닦고, ②정진의 집중에 기반한 노력의 형성을 갖춘 신통의
             기초를 닦고, ③마음의 집중에 기반한 노력의 형성을 갖춘 신통의 기초를 닦고,

             ④탐구의 집중에 기반한 노력의 형성을 갖춘 신통의 기초를 닦습니다.”(전재성
             역주, 『디가 니까야』 전집(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16), pp.1390-1391)라고 번역했다.

               두 사람의 번역이 완전히 다르다. 빨리어 iddhipāda를 각묵스님은 ‘네 가지




             1)  衆集經』(T1, p.50c), “復有四法, 謂四神足. 於是比丘, 思惟欲定滅行成就. 精進定·意定·思惟定,
                『
               亦復如是.”


                                                                         139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