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고경 - 2023년 1월호 Vol. 117
P. 147
원효에 대해서는 “화쟁사상으로 대승과 소
승, 성性과 상相의 대립과 여러 쟁론을 조화하
고 회통하여 일미一味의 진실로 귀일하게 했
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원효가 화쟁사상으
로 중국에서 성립된 여러 종파의 교학을 회통
했고, 의천은 교의 입장에서 선을 회통했으
며, 지눌이 선의 입장에서 교를 일원화한 뒤
다시 특별한 근기를 위해 간화경절문을 세웠
사진 6. 『대한불교 조계종 중흥론』.
다.”고 하여 사상사적 과제에 대한 각각의 업
적과 의미를 정리했다.
보조종조론의 시대적 함의
이 밖에도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있는데, 「해동불교 전래고」, 「고려
시대의 불교철학」, 그리고 『불씨잡변』의 불교 비판론을 하나하나 검토하고
재반박한 「정도전의 벽불론 비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추사 김정희가 선
승 백파긍선과 주고받은 편지를 분석한 「증답백파서를 통해 본 김추사의
선교관」도 주목된다. 이 글이 나온 1970년대에는 19세기의 선 논쟁이 불교
학계의 관심사로 떠올랐는데, 이는 당시 조선 후기 실학 연구의 붐과 관련
이 있다. 실학자이자 고증학의 대가인 김정희가 유불 교류를 하면서 선 논
쟁에 가담한 사실만으로도 학계의 흥미를 끌었고 조선시대 불교에도 사상
사적 의미가 있는 일대 논쟁이 있었음이 알려지게 되었다.
여기서 이종익이 보조종조론을 제기하게 된 시대적 함의를 잠깐 살펴보
자. 한국불교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담는 종명과 종조에 대해서는 몇 차례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