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고경 - 2023년 5월호 Vol. 121
P. 67
『 』 제121호 |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 5 | 지금까지 불교의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을 연기, 세계, 인간과 함께
살펴보았다. 이번 호부터 2회에 걸
쳐서 연기와 인간, 진리와 방법에
연기와 인간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제까지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면 이번 호에는 연기와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인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세계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더
라도 인간 자체에 대한 논의는 마음
에 대한 논의의 바탕이 되므로 중요
하게 다루어야 할 분야이다.
이지연기二支緣起 – 세계
연기는 두 가지 관점으로 볼 수
있다. 십이지연기와 이지연기이다.
십이지연기는 시간적인 관점에서
이시적異時的으로 원인에 의해서 결
과가 생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윤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
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이지연기는 공간적인 관점에서 동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
적同時的으로 연기되어 있는 모습을
담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상담학회 부
회장, 슈퍼바이저. 한국불교학회 부회장. 의미할 수 있다. 이지연기는 ‘이것이
저역서로 『불교심리학연구』, 『불교의 언
어관』, 『불교심리학사전』 등이 있다. 있을 때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날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