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고경 - 2023년 7월호 Vol. 123
P. 64
『 』 제123호 |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 7 | 지난 호까지 불교의 존재와 연기,
인식과 세계, 진리와 인간을 다루었
다. 이번 호부터는 이를 토대로 인간
의 마음 가운데 심心을 다루고자 한
마음과 심心 다. 불교심리학은 결국 마음을 주제
로 하는 학문이므로 마음이 무엇인
지를 살펴보는 것이 본령이 될 것이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다. 마음과 관련된 유의어 네 가지를
살펴보면서 ‘불교마음학’에서 마음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고자 한다. 심心·
의意·식識·성性을 순차적으로 살펴
본 이후 이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불교마음학
전통적으로 불교는 심心·의意·
식識을 동의어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심·의·식으로 구분하는 것 자체가 마
음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징을 드러
윤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
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낸다고 할 수 있다. 같은 의미를 가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
다고 할지라도 마음의 다른 측면을 드
담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상담학회 부
회장, 슈퍼바이저. 한국불교학회 부회장. 러내고 있는 것이다. 우선 마음과 나
저역서로 『불교심리학연구』, 『불교의 언
어관』, 『불교심리학사전』 등이 있다. 머지 심·의·식·성을 구분하고자 한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