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고경 - 2023년 7월호 Vol. 123
P. 69

는 것을 보여준다. 팔식은 이러한 저장의 기능으로 인해서 장식藏識으로
             불리기도 한다.
               팔식의 역할 가운데 유지하는 기능은 유지식(ādāna-vijñāna)에서 볼 수

             있다. 유지하는 것에는 신체까지도 포함된다. 유지식은 신체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식으로 팔식의 다양한 기능 가운데 하나이다. 언어의 형태로 저
             장되는 것은 종자식(bīja-vijñāna)의 기능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언어는 명
             언종자의 형태로 저장된다. 의意와 식識은 매순간 생멸하면서 업을 만들어

             내는데, 이는 기억의 형태로, 언어의 형태로, 신체의 형태로 저장된다. 그

             리고 이렇게 저장된 기억, 언어, 신체는 유지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심心의 축적하는 기능은 신구의身口意 삼업의 차원에서 보면 의는 기억,
             구는 언어, 신은 감각기관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집적하면서 변

             화하는 기능을 동시에 한다. 기억을 통해서 축적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변

             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올바른 기억과 회상을 할 수도 있고, 왜곡된 기억
             과 회상을 할 수도 있다. 언어도 고정성을 통해서 축적하지만 종자의 형태
             로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몸의 차원에서는 감각기관에 의한 정보의 축적

             과 변화로 인해서 유지식이 축적과 동시에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심

             장은 심의 물질적 토대이지만 나아가서는 몸 전체가 심의 물질적 토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심心은 의意와 식識이 활동한 결과를 머금는 기능을 하
             는 동시에 축적된 것이 변화하는 기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불교심리치료적 함의


               심心은 의·식이 세트로 만들어 내는 다양한 산물들을 축적하면서 변화

             하는 기능을 동시에 한다. 먼저 불교의 의식과 서구심리학의 의식은 구분



                                                                          67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