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고경 - 2023년 10월호 Vol. 126
P. 59
『 』 제126호 | 불교와 심리학의 만남 10 | 연재를 시작하면서 불교심리학의
정의와 분류를 다루었고, 이어서 심
리학과 연관된 존재론, 인식론, 세계
관, 인간관, 진리론 등을 다루었다.
불교마음학 그리고 지난 호까지 마음에 대해서
심의식성心意識性을 중심으로 살펴보
며 각각의 기능을 중심으로 심의식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이 다른 기능을 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심의식 이외에 성性을 추
가함으로써 마음의 전체적인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의와 식이 하나의 세트
가 되어서 업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업은 심에 저장되고, 심에서 다시 업
을 산출하는 재료가 된다. 또한 성은
마음이 가지고 있는 원래의 특징을
표현한 것이다. 이번 호부터는 불교
심리학의 세부 분류인 불교마음학,
불교심소학, 불교심리치료를 순차적
으로 다루고자 한다.
윤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석사. 서
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박사. 불교마음학의 관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
담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상담학회 부
회장, 슈퍼바이저. 한국불교학회 부회장. 불교심리학은 마음 자체를 다루는
저역서로 『불교심리학연구』, 『불교의 언
어관』, 『불교심리학사전』 등이 있다. 영역, 마음의 기능을 중점으로 다루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