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6 - 고경 - 2024년 3월호 Vol. 131
P. 116

각각의 차별상이 분명한 분별의 세계다. 분별의 세계를 떠나 무분별을 체
          험하고 다시 분별의 세계로 돌아오는 길을 보여 달라는 것이었다. 그것은
          마치 죽음을 체험하고 이 세계에 돌아와 그것을 말해 달라고 요구하는 일

          과 같다.

           그런데 돌 원숭이가 이에 응답한다. “내가 들어가 보겠다!” 그리고는 눈
          을 감고 쪼그렸다가 몸을 던져 폭포 속으로 뛰어든다. 두 눈을 감는 것은
          둘로 나누기를 멈추었다는 뜻이다. 쪼그렸다는 것은 자아를 항복시켰다는

          뜻이다. 폭포 속에 뛰어들었다는 것은 스스로 그것이 되었다는 말이다. 마

          음을 관찰한다고 할 때에도 관찰 주체로서의 마음과 관찰 대상으로서의 마
          음이 설정된다. 여전히 주체와 대상이 나뉘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
          면 몸소 그것이 되어 직관하는 입장[同體大智]이 되어야 한다. 돌 원숭이는

          눈 감기(분별 멈추기)와 쪼그려 앉기(자아 내려놓기)와 뛰어들기(스스로 그것이 되

          기)의 실천을 통해 그것을 성취한다.
           분별의 두 눈을 감으면 무분별의 한 눈이 뜨인다. 자아를 내려놓으면 연
          기緣起가 보인다. 스스로 뛰어들면 중도가 확인된다. 돌 원숭이가 폭포에

          뛰어들자 그 일이 일어났다. 돌 원숭이가 폭포에 뛰어들어가 보니 폭포는

          없고 하나의 철판교가 걸린 동굴이 나타났다. 그 동굴은 철판교 아래에서
          솟아나는 물, 철판교, 돌 가구들이 갖추어진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먼저 철판교 아래에서 솟아나는 물이 있다. 밖에서 폭포처럼 보였던 것은

          이 철판교 아래의 물이 바위의 틈에 흘러 들어가 분수처럼 솟구쳤다가 아

          래로 떨어지는 물줄기였다. 그것이 폭포처럼 떨어지면서 동굴을 가리고 있
          었던 것이다.
           마음은 본래 비어 있는 것이다. 6식은 물론 제7말나식, 제8아뢰야식이

          모두 실체가 없다. 다만 무명의 샘물이 시도 때도 없이 솟아나고 있을 뿐이



          114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