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고경 - 2024년 3월호 Vol. 131
P. 42
『 』 제131호 | 전통적 선정수행에서 만족스러운
붓다·원효·혜능·성철에게 묻고 듣다 3 |
해법/깨달음을 확보하지 못한 고타
마 싯다르타. 그는 당시의 수행 전통
에서 채택되던 또 하나의 수행법인
고타마, 고행에 몰입한다. 고행은, ‘감관적
사유의 반전으로 쾌락에 대한 욕망’에서 벗어나기 위
성공의 길에 접어들다 해 감관 욕구를 자발적이고 격렬한
방식으로 거세시키려는 수행이다.
‘감관적 쾌락과 그에 대한 욕망’ 자체
박태원
를 아예 지우려 한다. 모든 즐거움
울산대 명예교수
은, 거부하고 부정해야 할 감관적 쾌
락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극한의 고
행에도 불구하고 고타마 싯다르타는
아무런 소득이 없었다. 고행의 한계
와 문제점을 체험적으로 확인한 그
는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한다. 사유
의 반전을 시도한다. 어릴 적 나무
밑에 앉아서 경험했던 즐거움을 떠
올린 것이 반전의 계기였다.
박태원 고려대에서 불교철학으로 석· 니까야는 어릴 적 경험했던 즐거
박사 취득. 울산대 철학과에서 불교, 노
자, 장자 강의. 주요 저서로는 『원효전 움이 초선初禪의 즐거움이었다고 하
서 번역』, 『대승기신론사상연구』, 『원효,
면서 초선의 정형구로 기술하고 있
하나로 만나는 길을 열다』, 『돈점 진리담
론』, 『원효의 화쟁철학』, 『원효의 통섭철 다. 붓다의 사선四禪 설법을 고타마
학』, 『선禪 수행이란 무엇인가?-이해수
행과 마음수행』 등이 있다. 싯다르타의 수행과정에 소급 적용한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