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고경 - 2024년 5월호 Vol. 133
P. 106

을 쓰지 않고 일부러 머리카락을 사용하
                                      는 데는 이유가 있다. 머리카락은 고대
                                      부터 한 사람의 영혼이 담긴 분신으로

                                      여겨졌다. 사후에 수습한 고인의 모발

                                      을 이용해 가까운 이들이 발원하는 경우
                                      가 많았고, 왕생을 기원하는 마음에서
                                      자신의 모발을 이용해 수불을 제작하기

                                      도 했다. 신체의 일부가 작품 속에서 부

                                      처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오래도록 모
                                      실 수 있으니 참으로 값진 불사가 아니
          사진 8. 영산회도, 조선.             겠는가.

                                        자색 비단 위에 금선으로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여래와 권속들을 그
                                      린 불화는 영산회도靈山會圖이다. 중앙
                                      에는 여래가 높은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

                                      좌 했고, 그 좌우에는 여의를 든 문수보

                                      살과 책이 올려진 연꽃 줄기를 든 보현
                                      보살이 등장한다. 그 위쪽으로 팔대보
          사진 9. 전시를 관람하는 관람객들.
                                      살, 십대제자, 팔부중이 있고, 아래쪽으
                                      로 사천왕을 배치한 구도이다. 하단 중

          앙에 금으로 쓴 발문[金跋]이 있다. 조선의 11대 왕 중종의 왕비 문정왕후文
          定王后(1501〜1565)가 임금과 본인의 무병장수를 빌고, 왕실의 후사가 이어
          지길 바라며 조성했다.

           문정왕후는 어린 나이에 보위에 오른 아들을 대신해 1553년까지 수렴청



          104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