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 고경 - 2024년 5월호 Vol. 133
P. 127

살아가고자 다짐하게 됩니다.
               작년 시월에는 불교의례 음
             식에 관한 기획전시를 맡게 되

             어 부처님을 향한 ‘불심’과 어

             머니를 향한 ‘효심’을 담아 전
             시를 했습니다. 대표적인 불교
             의례 중의 하나인 수륙재를 바              사진 5. 호기놀이(범어사 독성전 벽화).

             탕으로 감로탱화를 참고하여 전시를 준비했고, 사찰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일상음식이 아니라 의례에 사용되었던 음식을 바탕으로 재현한 전시였습
             니다. 이 전시를 준비하면서 부처님 오신 날의 세시음식과 의례음식에 대
             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전통을 기반으로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중화

             될 수 있는 문화로 자리매김했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습니다.

               공민왕이 직접 연등을 만들어 불을 밝혔고, 궁중에서 서민층에까지 호
             기풍속呼旗風俗이 전파되었듯이 불교 음식문화가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문화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작년에는 부처님오신날을

             즈음하여 신세계푸드와 함께 ‘육바라밀연꽃단팥빵’을 출시하여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단순히 빵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오신날에 대중문화
             를 만들어 가는 데 의미를 두었고, 모두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하나의 매
             개체를 만들어 친근하게 접근했으면 하는 바람이었습니다. 우리들의 바람

             처럼 연등회가 세계인의 축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고려시대 인기과자, 고려병高麗餠



               불교의례 음식으로 사용되는 유밀과는 고려시대의 대표 과자입니다. 유



                                                                         125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