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2 - 고경 - 2024년 5월호 Vol. 133
P. 162

[衣線:  法服을  의미]  아래
                                                 에  있으면서,  이치[理]

                                                 는  모름지기  향상사向
                                                 上事를 회통會通 해야 하

                                                 니, 등한하지 말라. 만
                                                 약 승당처承當處가 분명
                                                 하다면  바로  다른  제

                                                 성諸聖들을  자기의  등

                                                 뒤로 던져 버려야 비로
                                                 소  자유로울  것이다.
          사진 1. 조산본적曹山本寂 선사禪師.
                                                 만약 던져 버리지 못한

              다면 설사 배워서 십성十成을 얻었다고 해도 도리어 그들 등뒤에서

              차수叉手해야 할 것이니 무슨 큰소리를 치겠는가! 만약 자기自己를
              던져 버릴 수 있다면 모든 거칠고 무거운 경계가 온다고 해도 주
              재主宰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진흙 속에 넘어진다고 해도 역시

              ‘주재’할 수 있을 것이다.     1)



           이로부터 본적의 기본적인 입장을 여실하게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이
          구절은 명대明代 주시은朱時恩이 찬술한 『불조강목佛祖綱目』 권33에 실린 ‘본

          적 선사가 조산에서 법을 엶[本寂禪師開法曹山]’의 항목 첫 구절에 전재하고

          있는데,  주시은 역시 이 구절을 본적이 제창한 선사상의 출발로 보고 있
                2)

          1)  [日本]慧印校, 『撫州曹山元證禪師語錄』(大正藏T47, 530a), “僧家在此等衣線下, 理須會通向上事, 莫作
           等閑. 若也承當處分明, 卽轉他諸聖, 向自己背後, 方得自由. 若也轉不得, 直饒學得十成, 却須向他
           背後叉手, 說甚麽大話! 若轉得自己, 則一切麤重境來, 皆作得主宰. 假如泥裏倒地, 亦作得主宰.”
          2)  [明]朱時恩, 『佛祖綱目』 卷33(卍續藏85, 659c).


          160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