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 고경 - 2024년 5월호 Vol. 133
P. 35

행일 뿐이지 않을까요?
               한편으로는 3천배를 하는 마음이 이해가 가면서도 꼭 그렇지만도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요즘은 제 주변에서도 부쩍 절을 많이 하시는 분

             들이 많이 보입니다만 그분들이 모두 숫자 채우기에만 급급한 분들로는 보

             이지 않거든요. 절을 강조하고 절을 많이 하는 정림사에서는 ‘절’에 대해
             어떤 뜻을 지니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답 변



               마음의 눈을 뜬 분들에게는 본래 ‘중생’은 있지 않다고 합니다. 모두가
             있는 그대로 원만한 존재들(‘각覺의 상태’)이라고 하지요. 다만 이러한 사실을

             보지 못하여 모르고 있을 뿐(‘불각不覺의 상태’)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각覺’(부처의 상태)이면서도 ‘불각不覺’(중생의 상태)으로 있는 것일까요?


                  누가 “어떤 것이 불교입니까?” 하고 물으면 이렇게 답합니다.

                  “‘세상과 거꾸로 사는 것이 불교다.’ 세상은 전부 내가 중심이 되어

                  서 나를 위해 남을 해치려고 하는 것이지만 불교는 ‘나’라는 것을
                  완전히 내버리고 남을 위해서만 사는 것입니다. 그러니 세상과는
                  거꾸로 사는 것이 불교입니다. 그렇게 되면 당장에는 남을 위하다

                  가 내가 배가 고파 죽을 것 같지만, 설사 남을 위하다가 배가 고파

                  죽는다고 해도 남을 위해서 노력한 그것이 근본이 되어서 내 마음
                  이 밝아지는 것입니다. 밝아지는 동시에 무슨 큰 이득이 오느냐 하
                  면 내가 본래 부처라는 것을 확실히 알게 되는 것입니다, 본래 부

                  처라는 것을….”     - 해인사 대적광전에서 하신 성철 큰스님 대중법어 중에서.



                                                                          33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