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고경 - 2024년 5월호 Vol. 133
P. 49

왜 무아의 가르침인가?


               부처님은  왜  무아를

             가르쳤을까요? 대략 두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윤
             리적 요청’ 때문이고, 둘

             째는 ‘논리적 귀결’ 때문

             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윤리적  요청이란  일상            사진 1.  부처님을 상징하는 법륜. 기원전 1세기, 인도 아마라바티
                                          유적센터박물관. 사진: 서재영.
             적인 ‘나’를 영구 불멸하

             는 ‘나’로 착각하는 것이 집착, 증오, 교만, 이기주의 등 모든 윤리적 문제

             의 근원이라 보고 이런 착각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
             한 것입니다. 심지어는 개인적인 문제뿐 아니라 사회적 불화나 심지어 전
             쟁까지도 이런 착각에서 오는 것이라 본 것입니다.

               결국 ‘나’라는 생각, ‘나’를 떠받들려고 애쓰는 것이 ‘괴로움’의 근본 원인

             이므로 이를 고치는 것이 윤리적 요청이었다는 것입니다. 『싸뮤다 니카야』
             라는 불경에 보면 부처님은 다섯 수도승들에게 “그러므로 형제들이여, 누
             구나 있는 그대로 올바른 통찰을 가지고 알아야 한다. ‘이것은 내 것이 아

             니다.’ ‘이것은 내가 아니다.’ ‘이것은 나의 내가 아니다’라는 것을[…] 그리

             하여 [지금의 나에 대해] 염증을 느껴야 거기서 물러설 수 있고, 물러서야 참
             으로 자유로울 수 있느니라.”고 했습니다.
               둘째, 논리적 귀결로서의 무아입니다. 불교에 의하면 ‘나’라고 하는 것은

             하나의 육체적 요소와 네 개의 심리적 내지 정신적 요소인 이른바 색수상



                                                                          47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