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7 - 고경 - 2024년 8월호 Vol. 136
P. 167

데,  이것이  조사
             선에서 제접법이
             다양하게 출현하

             게 되는 소이연이

             라 하겠다.
               앞에서 조동종
             에서는 선사가 학

             인의 제접에 있어
                                사진 1.  동산양개 선사가 창건한 보리선사의 부도탑. 조동종의 선풍을 일으
             서 세 종류의 삼               킨 수행자들의 부도탑이다. 사진: 보리선사.
             루渗漏, 즉 자신이
             이미 확고하게 설정한 견해와 혹은 정식情識에 집착하거나 언어와 문자에 얽

             매이는 견삼루見渗漏, 정삼루情渗漏, 어삼루語渗漏를 제거하여 선리禪理를 깨

             우치게 함을 논했다. 그러나 중생들과 학인들의 근기와 견해는 너무도
             다양하여 양개는 다시 “나에게는 학인을 제접하는 세 가지 길[三路接人]이
             있으니, 조도鳥道와 현로玄路, 전수展手이다.” 라고 하여 ‘삼로접인三路接人’
                                                   3)
             을 제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조동종의 제접법 가운데 하나인 ‘삼로접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하늘을 나는 새처럼 흔적을 남기지 않는 조도




               우선 ‘조도鳥道’에 대해서 『동산선사어록』에서는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3) [日本]慧印校, 『筠州洞山悟本禪師語錄』(大正藏47, 511a), “我有三路接人, 鳥道玄路展手.”


                                                                         165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