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5 - 선림고경총서 - 20 - 현사록
P. 165

현사록 中 165


            임금의 도장과도 같다.한 법도 밖으로부터 옴이 없으며 한 법도
            안으로부터 나옴이 없다.사람마다 이와 같으므로 사람마다 부처
            가 된다는 것을 스스로 믿어야 하며,사람마다 빠짐없이 갖추어져

            있음을 스스로 믿어야 하니,이는 나,일진법계(一眞法界)일 뿐 그
            밖에 다른 법은 없는 것이다.이러한 이론을 ‘한 부분의 진여가 흘
            러들어 끊임없이 항상 절로 통하고 절로 앎’이라 부른다.그러나

            이것도 인(因)가운데 인일 뿐,앞은 밝혀도 뒤는 밝히지 못하여
            살려낼 기틀이 없으니 이를 죽은 말[死中句]이라고 부른다.그러므
            로 이를 자세하게 헤아려 본다면 끝날 기약이 없다.이러한 이론

            은 한 부분의 진여가 10신(十信)의 첫 단계에 들어간 모습[行相]이
            니 이를 의지해 수행하면 인(因)가운데 한 부분을 갖출 뿐이다.
            초경아,어떻게 생각하느냐?그렇겠느냐?”

               초경스님이 다시 물었다.
               “한 부분의 성상(性相)이 없으면 진상(眞常)이 흐르는 불성이 아
            니니 이를 본래 그러한 자기의 지혜라고 합니다.한 번도 움직인

            적이 없고 기봉(機鋒)이 닿지도 않았는데 빼앗아 바꾸어서 그 뒤를
            밝히는 일은 어떤 도리입니까?다시 스님께서 자비를 베푸시어 자
            세히 말씀해 주십시오.저 초경도 불사를 짓는 형제가 되어 불법
            의 자세하고도 큰 요지를 알게 해주십시오.”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움직이며 뒤를 밝히는 구절은 기봉이 닿지 못하는 2분법성(二

            分法性)이다.원래 항상하여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으면서 응용이
            자재하여,진여는 한결같고 평등하다는 견해와 인식에 응한다는
            헤아림을 떨어버렸다.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