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3 - 선림고경총서 - 23 - 인천보감
P. 203
203
“경산사 대혜스님은 평소에 어떻게 사람들을 가르치십니까?”
“ 스님께서는 오직 사람들에게 ‘개에게 불성이 없다’는 화두만
을 들게 하십니다.여기에는 말을 붙여도 안 되고 이리저리 헤아
려도 안 됩니다.오직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한 데 대하여
조주스님이 ‘없다’라고 한 말씀만을 들라 하십니다.오직 이렇게
학인을 가르칠 뿐입니다.”
법진은 마침내 크게 믿음이 가서 개 화두[狗字]를 밤낮으로 참
구하였다.한번은 밤중까지 앉아 있다가 갑자기 깨달은 바 있어
당장에 게송 몇 수를 지어 대혜스님에게 보냈는데,그 맨 마지막
송은 다음과 같다.
종일토록 경문을 읽으니
예전에 알던 사람 만난 듯하네
자주 막히는 곳 있다고 말하지 마라
한 번 볼 때마다 한 번씩 새로워진다.
終日看經文 如逢舊識人
莫言頻有石亥 一 擧 一 回 新 어록(語錄)
121.몸을 잊고 구도하다/신광(神光)스님
신광(神光)은 자주(磁州)사람으로 마음이 넓고 뜻이 높은 사람
이었다.유학(儒學)을 하면서 많은 책을 널리 읽었고 현묘한 도리
를 잘 논하였는데 한번은 이렇게 탄식하였다.
“공자와 노자의 가르침은 법도와 규범에 관한 것이며 불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