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6 - 선림고경총서 - 24 - 나호야록
P. 196

196


                 露赤體於龍峰 聞時富貴見後貧窮
                 年老浩歌歸去樂 從敎人喚住山翁


               태사 황노직(黃魯直)은 이 이야기를 듣고 웃으며 말하였다.

               “무진거사가 ‘영려한 한 점이 통한다’고 운운한 말은 제대로
            알지도 못한 자가 허공에다 귓구멍을 들이대는 짓이며,영원선사
            가 게송을 지어 설욕을 하였지만 이는 한 글자도 이뤄진 획이 없

            다.”
               안타까운 일이다.무진거사는 선문에 안목을 갖춘 사람이라 하
            지만 남의 말 때문에 회당과 같은 큰스님을 알아보지 못했으니,

            그에게 밝은 재량이 어디 있단 말인가.열선사는 비록 무진거사를
            만나 그의 문정(門庭)을 즐거이 출입하였지만 좁은 마음으로 질투
            를 하여 총림에서 비난의 구실이 되었음을 어찌하랴.





               38.황룡사 문에 써 붙인 글/사심(死心)선사


               사심(死心)선사는 대관(大觀)원년(1107)정해 9월에 홍주 자사

            이경직(李景直)의 명으로 황룡사(黃龍寺)의 주지가 되었는데 그 이
            듬해 문에 방을 써 붙였다.



                 “문을 맡은 행자들에게 바라노니 손님이 오거든 시간을 정하
               여 알려주고,부랑자와 소인배들이 이곳에 와서 도박을 벌이도록
               용납해서는 안 된다.그리고 항상 깨끗이 청소하라.사찰에 세
               개의 문을 설치하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공(空),무상(無相),무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