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6 - 선림고경총서 - 27 - 운와기담
        P. 106
     106
               “맨 첫 구절을 알면 맨 끝 구절을 알 수 있고 맨 끝 구절을 알
            면 맨 첫 구절을 깨닫게 된다.맨 첫 구절과 맨 끝 구절을 한쪽으
            로 던져 버리면 ‘백장야호(百丈野狐)’화두를 어떻게 깨달을 수 있
            겠는가?”
               “ 방에 들어올 때 이미 찾아온 뜻을 알고 있는데 무엇 하러 또
            다시 수레바퀴에 묻은 진흙을 들추십니까?”
               “ 이 신장로(新長老)가 상좌의 손아귀에 죽었다.”
               “ 말씀이야 비록 다르지만 지극한 이치는 차이가 없습니다.”
               “ 무엇이 차이가 없는 일인가?”
               “ 황룡(黃龍)의 뿔을 두들기지 않으면 어떻게 턱 밑의 구슬을 알
            겠습니까?”
               이 말에 사심선사는 그를 때렸다.당시 사심선사는 자신의 초
            상화에 제(題)를 썼다.
                 헐렁한 이빨 검은 얼굴은
                 광남 지방의 도적이로다
                 속은 텅 비고 마음만 높은 것이
                 문필을 모르도다.
                 齒缺面黑 廣南正賊
                 空腹高心 不識文墨
               재선사가 4수의 게송으로 이를 해석하여 사심선사에게 올렸다.
                 헐렁한 이빨 검은 얼굴은
                 달마가 다시 오심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