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2 - 선림고경총서 - 27 - 운와기담
P. 202

202


                 無孔鐵鎚太重 墮在野軒詩頌
                 酸豏氣息全無 一向撲入齏瓮


               이에 가준선사는 그의 운을 따라 화답하였다.



                 무위자!큰 존경도 받지 못하면서
                 가는 곳마다 시를 읊고 게송을 지어대니
                 설령 백발백중하더라도
                 범종을 보고 옹기라 말하는 꼴 면치 못하리.
                 無爲不甚尊重 到處吟詩作頌
                 眞饒百發百中 未免喚鍾作瓮



               얼마 후 어떤 스님이 무위군(無爲軍)으로 행각을 떠나가자 가
            준선사는 게송을 지어 전송하면서 또한 양차공을 업신여기는 글

            을 지었다.


                 이번 걸음은 무위(無爲)를 유정(有情)으로 바꾸자 함이나
                 나 야헌은 그대의 행각에 아무것도 줄 것이 없구나
                 만일 양걸(楊傑)의 문전을 지나가거든
                 나를 위해 큰 소리로 할을 한번 해주오.

                 今去無爲化有情 野軒無物贈君行
                 若從楊傑門前過 爲我高聲喝一聲


               양걸은 일찍이 설두(雪竇)문하의 많은 스님에게 도를 물었고
            가준선사는 보본사(報本寺)난(蘭)선사의 뒤를 이었기에 설두선사

            를 조부로 삼았다.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