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9 - 선림고경총서 - 28 - 고애만록
P. 219

고애만록 下 219


               40.별봉 진(別峰珍)화상의 사람됨과 수행/
                    개석 붕(介石朋)선사



               개석 붕(介石朋)선사가 말하였다.
               “별봉 진(別峰珍)화상이 고산사를 떠나 육왕사에 이르러 대혜

            (大慧)스님을 뵙겠노라고 불전 뒤편에 돗자리를 깔아 놓고 79일
            동안 좌선하였다.마침 진국부인(秦國夫人)의 청으로 대혜스님께서
            법좌에 오르자 기뻐하며 ‘오늘에야 스님을 뵈올 수 있으리라’하

            였는데 과연 그의 뜻대로 스님을 뵙고 주고받은 말들이 서로 일
            치되었으며 다시 세 마디 전어(轉語)를 던지고 떠나가니 대혜스님
            은 그를 매우 기특하게 여겼다.마침내 굉지(宏智)스님과 함께 그

            를 악림사(岳林寺)의 주지로 추천하였는데 지금도 그 절에는 그의
            부도탑이 남아 있다.별봉화상은 온몸에 긴 털이 덮여 있었기 때

            문에 당시 사람들은 그를 진사자(珍獅子)라 불렀다.”
               개석스님이 그의 필적에 글을 썼는데 대략 다음과 같다.



                 “별봉스님은 불심 재(佛心才)스님의 법을 전수받은 후 높은
               자리에 앉아 그의 도가 유명해졌는데도 다시 묘희스님을 찾아뵈
               려는 용기를 지녔으니 그의 뜻을 무어라 해야겠는가?도행이 지
               지부진했던 도박(道璞)담의(曇懿)스님 등과 함께 논할 수 없는
               자이니 이것이 그가 한시대 종사의 표준이 되는 까닭이다.아!

               이제는 큰스님을 뵈려고 79일을 기다리는 후학을 하나라도 보려
               하나 역시 힘든 일이다.”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