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1 - 선림고경총서 - 32 - 종용록(상)
P. 131
종용록 上 131
법안이 대답하되 “모릅니다”하였다.
-어째서 진작 그렇게 말하지 않았지?
이에 지장이 말하되 “모르는 그것이 가장 친절(가까움)하니라”
하매,
-들렀던 김에 날강도질을 하는구나!
법안이 활짝 크게 깨달았다.
-헛되이 노자만 낭비했구나!
평창 스승께서 이르시다.
양무위(楊無爲)가 부용 해(芙蓉楷)화상에게 묻되 “헤어진 지
가 몇 해이던고?”하니,부용이 대답하되 “7년입니다”하였다.
공이 다시 묻되 “도를 배우셨소?아니면 참선을 하셨소?”하니,
부용이 대답하되 “그러한 풍각은 울리지 않았습니다”하였다.
공이 다시 말하되 “그렇다면 공연히 산천을 돌아다닌 것이니,
전혀 이익이 없겠군!”하니,부용이 대꾸하되 “헤어진 지가 오
래지 않은지라 잘도 꿰뚫어보십니다”하니,공이 크게 웃었다.
남전(南泉)이 이르되 “도는 알고 모르는 데 속한 것이 아니
니,안다면 허망한 느낌일 것이요,모른다면 무감각[無記]일 것
이다”하였다.그런데 요즘 사람들은 모르는 그것이 가장 친절
하다는 말에 법안이 깨달은 것만을 보고는 문득 한결같이 생각
하기를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면 그대로가 옳다”고 여기
나니,옛사람의 한 말씀은 하늘이 두루 덮듯,땅이 두루 받들
듯 함을 전혀 모르기 때문이다.
이미 가장 친절하다는 도리를 알지 못하니,하택(荷澤)이 이
르되 “안다는[知]한 글자가 뭇 묘함의 문호라”고 한 것은 또
어찌하겠는가?그대들은 그저 옳다면 몽땅 옳다고 여기거니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