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선림고경총서 - 33 - 종용록(중)
P. 74
7 4
“ 우 레 가 울 려 개 구 리 깨 어 난 다 ” 함 은 이 승 이 너 무 지 나 치 게
탐 색 하 는 태 도 를 송 한 것 이 니 , 경 칩 ( 驚 蟄 ) 이 든 2 월 을 기 다 리 지
않 고 , 미 리 부 터 일 어 난 용 은 뜬 구 름 이 용 을 따 라 가 고 자 하 는 데
묘 시 조 의 위 풍 때 문 에 길 이 막 힌 다 는 사 실 을 알 지 못 하 여 , 모
르 는 결 에 머 리 를 부 딪 친 다 는 것 이 다 . 어 떤 이 는 이 르 되 “ 승 의
말 이 실 수 를 범 하 지 않 았 더 라 면 어 찌 흥 양 의 기 봉 ( 機 鋒 ) 을 드
러 낼 수 있 었 으 리 오 ? 하 는 뜻 이 라 ” 하 거 니 와 “ 울 리 기 전 에 ” 와
“ 어 찌 알 았 으 리 오 ? ” 한 부 분 은 전 혀 들 어 맞 지 않 는 것 같 다 .
“ 베 틀 [ 機 ] 밑 의 면 면 이 이 어 짐 이 여 ” 에 서 기 ( 機 ) 는 기 봉 이 란
뜻 으 로 쓴 기 ( 機 ) 가 아 니 라 , 비 단 베 틀 밑 에 는 반 드 시 재 주 있
는 아 녀 자 의 바 늘 과 실 이 있 다 는 뜻 이 다 . 설 암 ( 雪 岩 ) 선 사 가 일
찍 이 이 르 되 “ 구 멍 작 은 금 바 늘 이 코 끝 을 드 러 내 자 , 꼬 리 긴
옥 실 [ 玉 線 ] 이 묘 하 게 관 문 을 통 과 한 다 ” 하 였 으 니 , 이 는 동 산 의
혈 맥 은 그 경 지 의 사 람 이 아 니 면 쉽 게 알 지 못 한 다 는 뜻 이 다 .
인 을 찍 을 때 엔 바 람 결 에 다 찍 지 말 것 이 니 , 도 장 을 허 공 에
다 찍 으 면 문 채 가 나 타 나 지 않 는 다 . 창 힐 ( 蒼 頡 ) 이 별 들 의 둥 글
고 굽 은 형 세 를 우 러 러 관 찰 하 고 , 거 북 의 문 채 와 새 의 발 자 취
의 형 상 을 구 부 려 관 찰 하 고 는 갖 가 지 아 름 다 운 모 습 들 을 널 리
채 집 하 여 글 자 를 만 들 었 다 . 나 중 에 과 두 문 ( 蝌 蚪 文 ) 으 로 부 터 두
가 지 전 ( 篆 ) 자 가 생 겼 으 니 , 주 선 왕 ( 周 宣 王 ) 의 태 사 ( 太 史 ) 인 주
籀
( ● ) 가 대 전 ( 大 篆 ) 을 만 들 고 , 진 의 승 상 [ 秦 相 ] , 이 사 ( 李 斯 ) 가 소 전
( 小 篆 ) 을 만 들 었 다 . 지 금 쓰 는 인 전 ( 印 篆 : 도 장 에 쓰 는 전 자 ) 은
방 전 ( 方 塡 ) 이 라 한 다 .
일 러 보 라 . 흥 양 이 획 을 새 겼 느 냐 ? 흰 옥 은 본 래 티 가 없 는
데 문 채 를 새 겨 서 군 왕 의 덕 을 손 상 시 키 는 도 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