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7 - 선림고경총서 - 33 - 종용록(중)
P. 77

종용록 中 77


               평온한 곳에서는 다리를 뻗는다.
               -죽이 묽거든 끝에 앉으라.
               발밑의 실이 끊어지면 내가 자유롭고,

               -발길에 맡기다 보니 창주를 지나왔네.
               코끝에 진흙이 다하니,그대 깎으려 마라.
               -피차에 편리함을 찾는구나!

               움직거리지 마라.
               -이미 뒤틀리는 손이 어지러이 흔들리는데…….
               천 년 묵은 종이가 약에 쓰이는 수가 있느니라.

               -대단히 신기한 효험이 있다.


               평창 스승께서 이르시다.

                  황벽(黃蘗)이 처음으로 백장(百丈)에게 참문하니,백장이 이르
                되 “우뚝우뚝하고 당당한 모습으로 무엇 하러 왔는고?”하니,
                황벽이 이르되 “우뚝우뚝하고 당당한 모습은 딴 일을 위함이
                아닙니다”하였으니,“우뚝우뚝하고 당당하며,태연하고도 자약
                하다”한 것은 모두가 대장부의 모습이다.
                  창칼이 빽빽한 숲에 몸을 던져 곧장 지나가고,가시덤불 무
                더기 사이로 손을 흔들면서 걸어간다.발꿈치 밑에는 5색의 실

                이 없고,혀끝 위에는 10자의 관문도 없다.코끝에는 진흙 흔적
                이 없고 눈 속에는 금부스러기가 없으니,그 어찌 안락하고 쾌
                활한 첨지가 아니겠는가?
                  천동의 “움직거리지 마라”한 글자로 만송의 네 개 아니 불
                자와 바꾸어 보라.문득 한 글자 법문이 바다로 먹을 삼아서
                써도 다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