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7 - 선림고경총서 - 36 - 벽암록(중)
P. 227
벽암록 中 227
구절(등롱 운운한 부분)에 주해를 붙여 말하기를 “살펴보고,살
펴보라”고 하였는데,그대가 눈썹을 치켜세우고[瞠*眉]눈을 부
28)
릅뜨라는 말로 이해한다면 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옛사람이 말하였다.
신령한 빛 홀로 비치어
아득히 근(根)․진(塵)을 벗어나다.
진상(眞常)이 통째로 드러나
문자에 얽매이지 않고
심성(心性)은 물듦이 없어
본래 뚜렷하게 그대로이니
허망한 반연(攀緣)여의기만 하면
바로 여여(如如)한 부처라네.
만일 눈썹을 치켜세우고 눈을 부라리며 턱 버티고 있다면 어
떻게 육근(六根)․육진(六塵)을 벗어날 수 있겠는가?
설두스님은 말하였다.
“살펴보고,살펴보라.운문스님이 언덕에 낚싯대를 잡고 있는
것과 같다.구름 또한 뭉게뭉게 피어오르고 물도 넘실넘실한데
밝은 달은 하얀 갈대꽃에 비치고,갈대꽃은 밝은 달에 비친다.”
바로 이러할 때는,말해 보라,어떤 경계일까?곧바로 볼 수
있다면 앞의 구(구름은 뭉게뭉게)와 뒤의 구(물은 넘실넘실)가
결국은 같을 뿐이다.
*瞠:抽자와 庚자의 반절.똑바로 쳐다본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