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0 - 선림고경총서 - 36 - 벽암록(중)
P. 230
230
찾는다면 남전스님을 저버릴 것이다.
창을 마주한 칼날 위에서 살핀다면,있다 해도 옳고 없다 해
도 옳으며,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다 해도 옳을 것이다.그러므
로 옛사람의 말에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한다”고 하였다.요
즈음 사람들은 변과 통은 모르고서 오로지 말만 가지고 따진다.
남전스님이 이처럼 들어 보인 것은 사람으로 하여금 당장에
무슨 대답을 하도록 하는 데 있지 않다.오직 스스로가 깨닫고
서 제각기 스스로 작용하고 스스로 알게 하려는 데 있다.만일
이처럼 이해하지 못한다면 끝내 (본뜻을)찾을 수 없을 것이다.
설두스님은 대뜸 다음과 같이 송을 하였다.
송
양편 승당엔 모두가 엉터리 선객들.
-몸소 한 말씀 하셨군.한마디로 말을 다해 버렸군.죄상에 의거하여
판결했다.
자욱한 티끌만을 일으킬 뿐 어찌할 줄 모르는구나.
-그가 어떻게 종결짓는가를 살펴보라.그대로 드러난 공안이다.그래
도 약간은 있었구나.
다행히도 남전스님이 법령을 거행하여
-(원오스님은)불자(拂子)를 들고 말한다.이것과 비슷하군.남전스님은
아직 좀 모자란다.좋은 금강왕 보검을 진흙을 자르는 데 쓰고 있다.
단칼에 두 동강 내어 한쪽[偏頗*:두 동강 내는 쪽]을 택했네.
)
29
-산산이 부서져 버렸다.혹시 어떤 사람이 칼을 어루만지면 그가 어떻
게 하는가를 보아야 한다.그냥 용서해 줘서는 안 된다.(원오스님은)
쳤다.
*頗:普자와 禾자의 반절.偏과 같은 뜻.음은 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