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정독 선문정로
P. 29

이처럼 구경무심의 성취가 바로 돈오이고 견성이다. 더 이상 떨어낼

             티끌이 남아 있지 않는 이 돈오견성이 곧 대원각이다. 이것이 성철선의
             제1종지인 돈오원각론의 내용이다.






                3. 문장 인용의 특징





                【1-1】  纔得見性하면 當下에 無心하야 乃藥病이 俱消하고 教觀

                을 咸息하느니라



                선문정로  견성을 하면 즉시에 구경무심경究竟無心境이 현전現前하여
                약과 병이 전부 소멸되고 교敎와 관觀을 다 휴식하느니라.



                현대어역  견성하면 그 즉시에 당장 무심이 되어 약과 병이 함께 사라

                지고, 경전 공부와 참선 수행을 모두 쉬게 된다.



             [해설]  영명연수스님은 선종의 직지인심, 견성성불의 종지에 기반하
             여 법상, 화엄, 천태, 삼론 등의 이론을 융합한 『종경록宗鏡錄』을 내놓는

             다. 이 『종경록』은 『선문정로』 집필의 모델이기도 하다. 제1장의 첫 번째
             인용문을 비롯하여 많은 문장을 여기에서 가져온 것도 그 때문이다.

                견성은 곧 구경무심의 성취이며 대원각임을 드러내는 것이 이 문장
             의 인용 목적이다. 병이 나으면 더 이상 약이 필요 없는 것처럼 견성하

             면 경전 공부와 참선 수행을 모두 내려놓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성철스님은 무심의 완전성을 강조하기 위해 ‘구경무심경’이라는 용어를




                                                             제1장 견성즉불 · 29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