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정독 선문정로
P. 44
영영 그 잔여가 없는 고故로 원리遠離라 하며, 허망환상虛妄幻相을 원
리한 고로 진여자성이 곧 현현하나니 고로 견성이라고 한다. 전 3위
중에는 최초 생상이 멸진하지 않았으므로 견성이라 하지 않는다.
현대어역 무명업식이 생각을 움직이는 것이 생각 중에 가장 미세하므
로 미세한 생각이라 부른다. 이것이 최초로 생겨나는 모양이다. 이
최초의 모양이 모두 소멸하여 영원히 남는 것이 없으므로 멀리 벗어
난다고 한다. 허상을 멀리 벗어나므로 진여자성이 즉시 뚜렷하게 드
러나니. 이것을 ‘마음의 본성을 본다’라고 한다. 앞의 세 지위에서는
생상이 멸진하지 않았으므로 견성이라 하지 않는다.
[해설] 【1-4】의 『기신론』 문장에 대한 현수스님의 해석을 담고 있는
『대승기신론의기』에서 가져왔다. ‘미세한 생각을 멀리 벗어나기 때문에
(以遠離微細念故), 마음의 본성을 보게 된다(得見心性)’는 구절이 해석의 대
상이다. 왜 미세한 생각이라 하는가? 무명업식이 3세 중에서 가장 미
세하기 때문이다. 왜 멀리 떠난다고 하는가? 무명업상, 즉 최초로 생겨
나는 모양(生相)이 모두 소멸하여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
럼 최초의 모양이 멸진하면 성품이 저절로 드러나므로 이것을 견성이라
한다는 것이다.
최초로 생겨나는 모양이 모두 소멸하면 그것은 바람이 멈추어 고요
해진 바다와 같다. 이 맑고 고요한 차원에서 보면 애초에 파도라는 움
직임과 본래의 고요함이 한결같이 한마음이다. 오직 평등할 뿐이라 시
각始覺이 본각本覺과 다르지 않다. 이것이 구경각의 풍광이다.
①, ②, ③은 모두 단순 탈자에 해당한다. 성철스님의 번역문에는 이
빠진 글자들이 모두 해석되어 있다. 즉 ①은 ‘허망환상을 멀리한 고로’,
44 · 정독精讀 선문정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