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7 - 정독 선문정로
P. 677

③에서는 협주를 본문으로 편입하여 인용하였다. 한 생각도 일어나

             지 않아 앞뒤가 끊어지는 무심에 대한 비유를 버리기 아까웠기 때문으
             로 보인다. 한 묶음의 실타래를 끊으면 만 가닥의 실이 단번에 끊기고,

             한 묶음의 실타래를 물들이면 만 가닥의 실이 단번에 물든다는 이 말
             은 돈오돈수에 대한 절묘한 비유이기도 하다.

                ④의 ‘염染’은 원문의 ‘색色’을 대체한 것이다. ‘염染’이 물들인다는 뜻을
             더 잘 표현한다고 보아 윤문한 것일 수 있다. 다만 번역문에는 ‘만조萬

             條를 일시에 돈색頓色한다’라고 원문대로 번역되어 있다. 변환의 의도가
             없었으므로 원래의 글자로 돌아가야 한다.

                ⑤의 ‘지之’ 자는 단순 생략이다.
                번역문 ⑥의 ‘염색’이라는 번역문이 자연스럽지 않다. 동일한 구조를

             갖는 앞의 문장을 참고한다면 ‘염색하는 것과 같아서’ 정도의 번역문이
             와야 할 자리이다. 초판본의 교정 지시에 따라 ⑦의 ‘돈색함과 같다’로

             ‘여如’를 번역할 수도 있다. 원융스님의 필적으로 된 교정 지시이므로 이
             것을 따르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13-15】   各各反照하야 有病卽治요 無病勿藥이니라



                선문정로  각각 반조反照하여 보아서 유병有病하면 치료하여야 하고 무

                병無病하면 용약用藥할 필요가 없느니라.



                현대어역  각자 돌이켜 비추어 보아 병이 있으면 바로 치료하고 병이
                없으면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해설]  규봉스님의 논의에서 가져왔다. 돈오 이후 진정한 무심을 실




                                                            제13장 해오점수 · 677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681   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