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8 - 정독 선문정로
P. 848

파의 정맥을 계승했다고 선언했다는 것은 자신의 제자들이 그보다 못

            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일이기도 했다. 응암스님은 대혜스님과 함께 당
            시 사람들에게 두 개의 감로문으로 불렸으므로 대중들의 평판 또한 다

            르지 않았다.
               성철스님은 이에 대해 “불법으로써 인정人情을 팔지 않겠다고 한 대

            혜의 진면목이 약동한다.”          469 고 찬탄하였다. 대혜스님은 선종사에 보기
            드문 정안종사로서 간화선풍을 드날렸다. 그렇지만 대혜스님에게서는

            응암스님 같은 분이 나오지 않았다. 정안종사가 얼마나 귀한 존재인지
            를 거듭 보여주고자 하는 인용문이다.

               ①의 ‘응암화應菴華’를 추가하여 문장을 독립시키고자 하였다.
               ②의 추대하고 중시한다는 뜻의 ‘귀중歸重’을 귀중하게 여긴다는 뜻

            의 ‘귀중貴重으로 바꾸었다. 의미상의 큰 차이는 없다.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쉬운 단어로 바꾼 것일 수 있다. 혹 발음이 같아서 옮겨

            쓰는 과정에 오기가 일어난 것일 수도 있다.
               번역문 ③에서는 ‘매양梅陽’을 ‘매양梅楊’으로 잘못 표기했다. 편집상의

            오류로 보이며 바로잡아야 한다.



               【17-7】  ①黃龍南이 初參慈明하야 聞其②[論多]貶剝諸方하되 而
               件件數以爲邪解者가 皆泐潭密付旨訣일새 氣索而歸하니라



               선문정로  황룡남黃龍南이 처음으로 자명慈明에게 왕참往參하여 그 제

               방諸方을 폄박貶剝함을 들으매, 건건件件이 사해邪解라고 배척하는 것
               이 거개擧皆 늑담泐潭이 밀부密付한 지결旨訣이므로 기색氣索하여 귀




             469   퇴옹성철(2015), p.372.



            848 · 정독精讀 선문정로
   843   844   845   846   847   848   849   850   851   852   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