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2 - 정독 선문정로
P. 892

님이 말하였다. “3요의 도장 찍은 것을 열어보면 붉은 점들이 좁게
               붙어 있어서 주객을 나눌 틈이 없다.” “제2구는 무엇입니까?” 임제

               스님이 대답하였다. “오묘한 이해에 무착의 질문이 들어올 틈이 없
               으니 방편이 어찌 흐름을 바로 끊는 큰 기틀의 상근기를 저버리랴.”
               “제3구는 무엇입니까?” “무대 위의 인형놀이를 보라. 그 움직임은
               모두 뒤에 숨은 사람에 의한 것이다.”



               그렇다면 임제스님은 3현3요를 세 가지로 나누어 설한 것일까? 그런

            데 다시 살펴보면 세 번의 질문에 대해 주객의 소멸, 오묘한 이해, 진여
            의 작용을 말함으로써 모두 같은 내용을 반복하고 있다. 또한 매번의

            대답은 이해의 길을 차단하고 있다. 첫 번째 질문이 들어오자 주객을
            나눌 틈이 없다는 말로 차단한다. 주객조차 나눌 수 없는데 제1구, 제2

            구, 제3구를 어떻게 나누겠는가? 두 번째 질문이 들어오자 논의제일인
            무착보살의 질문조차 들어올 틈이 없다고 답한다. 세 번째 질문이 들어

            오자 남의 장단에 춤을 추는 꼭두각시놀이를 말한다. 그러니까 임제스
            님은 세 번 대답했지만 세 가지로 나누어 말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성철스님이 3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 것은 임제스님, 분양스님의 뜻에
            계합한다.

               ①과 같이 ‘일현중一玄中’을 ‘일현문一玄門’으로 바꾸어 표기했다. 그런
            데 번역문에는 ‘일현一玄 중에’로 원문과 같이 옮기고 있다. 변환의 의도

            가 없었으므로 ‘문門’을 ‘중中’으로 복원할 필요가 있다.



               【18-4-⑥】  一句中에 具三玄門하고 一玄門에 具①[有]三要路니라



               선문정로  일구 중에 3현문三玄門이 구족具足하고 일현문一玄門에 3요





            892 · 정독精讀 선문정로
   887   888   889   890   891   892   893   894   895   896   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