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5 - 정독 선문정로
P. 925

를 증즉했다거나 10주, 10행, 10회향의 보살 지위를 증득했다’는 원문

             을 ‘깨달음의 과보를 증득했다(得果)’는 두 글자로 축약하였다. 여기에는
             오직 묘각만을 깨달음이라 해야 한다는 성철스님의 입장이 반영되어

             있다. 원문대로라면 모든 단계의 깨달음이 있다는 의미가 된다. 성철스
             님은 이러한 단계의 설정에 반대하며 그것을 언급하는 일조차 문제시

             한다. 축약이 행해진 이유이다.
                ④의 긴 문단이 생략되었다. 보살행을 서원하여 깨닫기 전에 중생제

             도에 나선다 해도 대망어만은 용납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대망어를
             멸진하지 않으면 수행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뒤의 문장으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 것이다.
                ⑤에서는 ‘대망어大妄語’를 ‘망어妄語’로 바꾸었다.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대망어는 망어와 구별되는 뜻을 갖고 있다. ‘대大’ 자를 생략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번역문을 보면 ‘만약에 그 대망어大妄語를 단절하

             지 못하는 자는~’과 같이 대망어로 옮기고 있다. 편집상의 오류임을 알
             수 있다. 교정해야 한다.

                ⑥에서는 ‘인분人糞’을 ‘분糞’으로 바꾸었다. 간략한 표현을 추구한 것
             이며 의미의 차이는 없다.

                ⑦의 ‘득得’ 자가 생략되었다. 번역문을 보면 ‘어찌 상인법上人法을 증
             득하였다고 자칭하리오’로 옮겨져 있어 ‘득得’ 자가 적용되어 있다. 편집

             상의 오류로서 교정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상인법上人法’은 사람
             의 분별을 넘어선 경계로서 해탈과 과보의 증득(證果)을 가리킨다. 그러

             므로 ‘상인법을 증득했다’고 자칭하는 일은 깨닫지 못해 놓고 깨달았다
             고 하는 대망어를 범하는 일이 된다.



                【19-2】  近代之人이 多所慢易하야 叢林에 雖入하나 懶慕參求하여




                                                            제19장 소멸불종 · 925
   920   921   922   923   924   925   926   927   928   929   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