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6 - 정독 선문정로
P. 936

을 실천했다. 그러면서도 설법을 멈추지 않아 ‘강남의 옛 부처님(江南古

            佛)’으로 불렸다.
               그가 당시 황제와 대신들의 예배를 받는 국사의 신분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그 실천의 철저함을 짐작할 수 있다. 성철스님의 인용 의도는
            실참실오의 강조에 있다. “허망한 명리의 노예가 되어서 생지옥에 떨어

                                                                       497
            져 영원히 회한悔恨하지 말고 오직 실참실오實參實悟하여야 한다.” 는
            것이다.

               ①, ②와 같이 문미의 ‘어조사 의矣’ 자를 생략하였다. 한글 현토와
            역할이 겹치기 때문에 이를 생략한 것이다.

               ③에서는 원문의 ‘빨리, 속히’의 뜻을 갖는 ‘극亟’ 자가 ‘상자’라는 뜻
            의 ‘함函’ 자로 되어 있다. 번역은 ‘조속히 이를 버리면’으로 되어 있어

            ‘극亟’을 적용하여 번역하고 있다. 1981년 초판본에 바로 되어 있었으나
            1993년에 가로쓰기로 바꾸면서 오류가 일어났다. 오자이므로 교정해

            야 한다.



               【19-7】  未悟者는 難與言已悟之境①[見]이니 如生而盲者語以天

               日之清明하면 彼雖聞而②[聽]不可辨也요 已悟者는 無復踏未悟
               之跡이니 如寐而覺者使其爲夢中事하나 彼雖憶而不可追也니라
               參學之士는 要當以悟爲準이니 此悟之所以③[又]爲難也라



               선문정로  오달悟達치 못한 자에게는 이오已悟한 실경實景을 말할 수 없

               으니, 비유하건대 출생부터 맹목盲目된 자에게 청천백일의 청명을 말
               하면 그가 비록 들어도 분변分辨하지 못함과 같다. 오달悟達한 자는




             497   퇴옹성철(2015), p.401.



            936 · 정독精讀 선문정로
   931   932   933   934   935   936   937   938   939   940   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