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9 - 정독 선문정로
P. 979
여래의 비밀장인 대열반의 모습을 비유한 것이다. 이것이 밝고, 청정하
며, 둥근 구슬의 비유와 중복되므로 생략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그 형
상적 비유를 자기식으로 이해하여 스스로 알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으
므로 이를 생략하였다. 이처럼 형상적 비유의 생략은 성철스님 문장 인
용의 주된 특징으로서 실참실오가 아닌 지해적 차원의 접근을 차단하
기 위한 조치에 해당한다.
한편 실참실오론은 간접성을 타기하고 직접성을 구현해야 한다는 점
을 강조한다. 【4-10】 등에서는 『대열반경』의 문장을 인용하여 불성을
간접적으로 들어서 보는 일(聞見)과 눈으로 직접 보는 일(眼見)의 차별성
을 말한다. 10지보살은 간접적으로 들어서 알고, 제불여래는 눈으로 직
접 본다는 것이다.
諸佛如來와 十住菩薩은 眼見佛性이요 [復有聞見. 一切衆生,] 乃
至九地는 聞見佛性이니라 28
제불여래와 10지보살이 불성을 눈으로 직접 보아 확인하는 차원(眼
見)이라면, 모든 중생이나 9지보살에 이르기까지는 불성을 귀로 듣고
이해하는 차원(聞見)임을 밝히는 문장이다. 오직 부처만이 두 눈으로 분
명하게 불성을 볼 수 있으며, 그 이전은 모두 명료하지 못하거나 아직
확인하지 못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음을 밝히기 위해 이 문장을 인용하
였다.
성철스님은 이 인용문의 문견聞見의 구절을 “9지九地에 이르기까지는
다. ∴ 혹은 ∵ 등으로 그려지지만 핵심은 세 점을 함께 담는 수직, 수평의 선이
그려지지 않는다는 데 있다.
『
28 大般涅槃經』(T12, p.528a); 퇴옹성철(2015), p.85.
부록 - 성철선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시론 · 979